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결뜻 '대결'의 정확한 차이점 (직장인 필독, 현직자 완벽 설명)

by 현실감각ON 2025. 11. 14.
반응형

 

[현직자 완벽 설명] 전결(專決) 뜻, '대결(代決)'과 결정적 차이점! "팀장님, 이거 전결로 올릴까요?" 직장인 필수 용어 '전결'과 '대결'! 둘 다 대신 결재하는 것 같은데... 전결의 정확한 뜻과 대결, 후결과의 결정적인 차이점을 현직자가 완벽하게 설명해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직장 생활, 특히 보고서를 올리다 보면 '결재'란에 찍히는 도장들이 참 다양하죠? 어떤 건 팀장님이 '전결'로 끝내고, 어떨 땐 본부장님이 휴가라 부장님이 '대결' 도장을 찍습니다. "결국 상사가 최종 결정하는 거 아닌가?", "둘 다 대신 결재하는 거 아냐?" 하고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전결이란?

하지만 '전결'과 '대결'은 그 권한과 책임의 무게가 완전히 다른, 아주 중요한 용어입니다. 오늘 현직자 입장에서 이 둘의 정확한 뜻과 '후결'은 또 무엇인지, 그 차이점을 속 시원하게 알려드릴게요! 

 

1. 전결(專決)의 정확한 뜻: "권한을 위임받다" 

'전결(專決)'의 한자 뜻은 '오로지 專(전)', '결정할 決(결)'입니다. 즉, '오로지 그 사람이 결정한다'는 뜻이죠.

회사(예: 대표이사)는 수많은 결정을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 사안의 중요도에 따라 결재 권한을 하급자(예: 본부장, 팀장)에게 나누어 줍니다. 이것을 '위임전결규정'이라고 하는데요.

'전결'은 이 규정에 따라 '상급자의 고유 권한을 하급자가 위임받아, 하급자의 결재만으로 최종 결정을 끝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100만 원 이하 비품 구매가 '팀장 전결 사항'이라면, 팀장의 결재가 곧 대표이사의 결재와 동일한 '최종 결정'이 되는 것입니다.

전결의 뜻

2. 대결(代決)의 정확한 뜻: "자리를 대신하다" 

'대결(代決)'의 한자 뜻은 '대신할 代(대)', '결정할 決(결)'입니다. 말 그대로 '대신 결정한다'는 뜻이죠.

'대결'은 '권한'이 넘어온 것이 아니라, 원래 결재권자(예: 본부장)가 휴가, 출장, 병가 등 '부재(不在)' 상태일 때만 발생합니다.

이때 업무가 마비될 수 없으니, 사전에 지정된 직무 대리인(차상급자나 하급자)이 본부장을 '대신하여' 임시로 결재를 처리하는 행위입니다. 즉, 권한을 위임받은 게 아니라 단순히 '결재 업무를 대행'한 것입니다.

대결과후결은 단짝입니다.
💡 알아두세요! '후결(後決)'은 '대결'의 단짝입니다.
'대결'은 임시방편이었죠? 그래서 '후결(後決)', 즉 '나중에 결재한다'는 절차가 필요합니다. 결재권자가 휴가에서 복귀하면, 자신이 없던 동안 '대결'로 처리된 문서들을 보고 "아, 이 건은 이렇게 처리되었군" 하고 내용을 확인(추인)하는 절차를 거칩니다. 그래서 결재란에 '대결'과 '후결' 칸이 같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3. '전결' vs '대결' 결정적 차이점 (현직자 팁!) 

아직도 헷갈리시나요? 두 용어의 결정적인 차이점을 '현실'에 빗대어 표로 정리해 드릴게요.

구분 전결 (專決) 대결 (代決)
핵심 의미 권한의 '위임' (Delegation) 직무의 '대행' (Substitution)
발생 사유 '업무 효율화' (위임전결규정) 결재권자의 '부재' (휴가, 출장 등)
권한의 상태 (하급자에게) 영구적 이동 (해당 업무에 한해) (대리인에게) 임시적 이동
최종 책임 '전결권자' (팀장)가 100% 책임짐 원칙적으로 '원 결재권자'(본부장)가 책임짐
후속 조치 없음 (그 자체로 최종 결재) '후결'이 필요함 (원 결재권자의 확인)
⚠️ 현직자의 찐 꿀팁: '전결'은 책임의 무게입니다!

팀장으로서 '전결' 도장 찍는 거, 편해 보이지만 사실 가장 무서운 일입니다. '전결'은 "대충 네 선에서 끝내"가 아니라, "이 사안에 대해서는 네가 사장이다. 네가 최종 결정하고, 네가 100% 책임져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규정상 '전결' 사항이라도, 중요하거나 민감한 내용이라면 반드시 상급자(임원)에게 "이러한 건을 전결 처리하겠습니다"라고 '사전 공유'하는 것이 현명한 직장 생활의 비결입니다!

 

4. 마무리: 핵심 내용 요약 

오늘은 헷갈리는 결재 용어 '전결'과 '대결', 그리고 '후결'의 정확한 뜻과 차이점을 알아봤습니다.

 

전결 vs 대결 핵심 요약

 전결 (專決): '권한 자체를 위임'받아 '최종 결정'하는 것. (업무 효율화 목적, 전결자가 100% 책임)
 대결 (代決): 결재권자의 '부재(휴가 등)' 시, '임시로 업무를 대행'하는 것. (원 결재권자가 책임)
 후결 (後決):
'대결'로 처리된 문서를 복귀한 원 결재권자가 '확인'하는 절차.

자주 묻는 질문 

Q: 전결 사항인데 상사에게 보고해야 하나요?
A: '결재'를 받을 필요는 없지만, '보고(공유)'는 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규정상 내(팀장)가 최종 결정권자(전결)이므로 결재는 내가 끝내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그 책임을 100% 내가 져야 하므로, 중요한 사안이라면 상사에게 "이러한 건은 규정에 따라 전결 처리하겠습니다"라고 미리 공유해 두는 것이 리스크 관리에 좋습니다.
Q: 대결로 결재했는데, 나중에 문제가 되면 누가 책임지나요?
A: 원칙적으로 '원 결재권자'(휴가 간 사람)가 책임을 집니다. '대결'은 권한을 위임한 것이 아니라 임시로 업무를 대행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대결자가 명백한 규정 위반이나 중대한 과실로 잘못 결재했다면, 대결자에게도 당연히 책임이 따를 수 있습니다.
Q: 전결, 대결, 후결은 모든 회사에 다 있나요?
A: 대부분의 조직(회사, 공공기관)에는 업무 효율을 위한 '위임전결규정'(전결)과 '직무대리규정'(대결, 후결)이 있습니다. 다만, 조직의 규모나 문화에 따라 이 용어를 엄격하게 쓰기도 하고, 소규모 스타트업 등에서는 упрощенно(간소화하여) 사용하거나 구두로 처리하기도 합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이 되는 글

2025.11.13 - [분류 전체보기] - 하인리히의 법칙 완벽 이해 (뜻, 유래, 무서운 사례)

 

하인리히의 법칙 완벽 이해 (뜻, 유래, 무서운 사례)

"1:29:300의 법칙", 하인리히의 법칙 완벽 이해! 대형 참사는 결코 갑자기 오지 않습니다. 1번의 큰 사고 전에 반드시 300번의 징후가 먼저 나타난다는 '하인리히의 법칙'의 정확한 뜻과 무서운 사례,

netscapeinfo.com

2025.11.13 - [분류 전체보기] - 스톡옵션 뜻 : 로또일까, 휴지조각일까?

 

스톡옵션 뜻 : 로또일까, 휴지조각일까?

[현직자 팁] 스톡옵션(Stock Option) 뜻, '인생 역전'의 로또일까? 이직 제안을 받았는데 '스톡옵션'이 포함되어 있나요? 현직자가 알려주는 스톡옵션의 정확한 뜻과, 반드시 확인해야 할 '베스팅(Vesti

netscapeinfo.com

2025.11.13 - [분류 전체보기] - 블랙컨슈머 뜻: 현직자가 말하는 단순 '진상'과 다른 이유

 

블랙컨슈머 뜻: 현직자가 말하는 단순 '진상'과 다른 이유

현직자가 말하는 '블랙컨슈머' 뜻, 단순 '진상'이 아닙니다! "사장 나오라 그래!"는 애교? 악성 민원, 고의 훼손, 협박까지... 서비스를 병들게 하는 '블랙컨슈머'의 정확한 뜻과 유형, 그리고 현직

netscapeinfo.com

2025.11.14 - [분류 전체보기] - 인지부조화 뜻, "왜 나는 자꾸 합리화할까?"

 

인지부조화 뜻, "왜 나는 자꾸 합리화할까?"

인지부조화 뜻, "여우의 신 포도"가 내 얘기인 이유? (다양한 예시 완벽 설명) "나는 왜 저 포도를 실 거라고 합리화할까?" 내 신념과 행동이 충돌할 때 겪는 심리적 불편함, '인지부조화'의 정확한

netscapeinfo.com

2025.11.12 - [분류 전체보기] - 피터팬 증후군 뜻, 혹시 당신도?

 

피터팬 증후군 뜻, 혹시 당신도?

피터팬 증후군(Peter Pan Syndrome) 뜻, 혹시 당신도? "어른이 되기 싫어!" 책임은 피하고 싶고, 누군가에게 의존하고 싶나요? '어른 아이'로 불리는 '피터팬 증후군'의 정확한 뜻과 그 증상, 그리고 원

netscapeinfo.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