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정근로시간 뜻, '월 207시간'의 비밀(계산방법 완벽 설명!)

by 현실감각ON 2025. 11. 7.
반응형

 

소정근로시간 뜻과 '월 207시간'의 비밀 (계산방법 완벽 설명!) 내 월급 계산의 기준! '소정근로시간'의 정확한 뜻과, '주휴수당'이 포함된 '월 207시간(또는 209시간)'의 계산 비밀을 완벽하게 파헤쳐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근로계약서를 쓰거나 월급 명세서를 받아볼 때, '소정근로시간: 월 209시간' (혹은 207시간)이라고 적힌 것, 보신 적 있으시죠? "어? 나는 '주 5일, 8시간' 근무니까 8시간 x 20일 = 160시간 아닌가?" "왜 209시간이나 207시간으로 계산하지?" 하고 헷갈리셨을 거예요. 

소정의 근로시간이란?

이 숫자의 비밀을 푸는 열쇠가 바로 '소정근로시간'과 '주휴수당'에 숨어있습니다. 오늘은 이 '소정근로시간'의 정확한 뜻이 무엇인지, 그리고 왜 월급 계산의 기준이 160시간이 아닌 207시간 또는 209시간이 되는지, 그 계산 방법을 완벽하게 설명해 드릴게요! 

 

1. '소정근로시간'의 정확한 뜻 

'소정근로시간(所定勤勞時間)'은 근로기준법에 나오는 용어입니다.

이것의 정확한 뜻은 '근로자와 사용자가 서로 일하기로 '약속(계약)'한 시간'을 의미합니다. (예: "우리는 월~금, 9시부터 6시까지 일하고, 12시부터 1시는 쉬기로 하자!")

물론, 이 '약속'은 법의 테두리 안에서만 가능합니다. 근로기준법이 정한 '법정근로시간'(1일 8시간, 1주 40시간)을 초과할 수는 없습니다.

소정근로시간의 정확한 뜻

아주 중요한 점은, 소정근로시간은 '연장/야간/휴일 근로'처

럼 추가로 일한 시간을 '제외한' 순수한 기본 근무시간이라는 것입니다.

 왜 '소정근로시간'이 중요할까요?
바로 모든 임금 계산의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 내 '시급'이나 '통상임금'을 계산하는 기준이 됩니다.
  • '연장/야간/휴일 수당' (1.5배)을 계산할 때의 기준 시급을 정합니다.

 

2. '월 207시간' (209시간)의 비밀: "주휴수당" 

자, 이제 "왜 160시간이 아닌가?"라는 핵심 질문에 답해 드릴게요. 그 비밀은 바로 우리가 '공짜'로 쉬는 날로 착각하기 쉬운 '주휴일(유급 휴일)'에 있습니다.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르면, 1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고, 그 주에 결근 없이 개근했다면, '일주일에 1회 이상의 유급 휴일(주휴일)'을 주어야 합니다. "일 안 해도 하루 치 돈(주휴수당)을 줘라!"는 뜻이죠.

즉, '월급'을 계산할 때는 내가 '실제로 일한 시간'뿐만 아니라, 이 '유급으로 쉬는 주휴시간'까지 포함해서 계산해야 합니다!

월 207시간의 비밀 = '주휴수당'

월급 계산 기준 시간 (209시간) 완벽 계산법

계산 근거: 주 40시간(주 5일, 1일 8시간) 근로자

① 한 달 평균 주(週) 수 계산:
1년 365일 / 12개월 / 7일 = 약 4.345주 (한 달은 4주가 아니라 평균 4.345...주 입니다)

② 월 '실제' 근로시간:
주 40시간 X 4.345주 = 약 174시간

③ 월 '유급 주휴시간':
주 8시간 (주휴수당 1일치) X 4.345주 = 약 35시간


[최종 계산]
월 174시간 (실근로) + 월 35시간 (유급 주휴) = 208.57...시간 ≈ 209시간

⚠️ 잠깐! '207시간'은 뭔가요?
'209시간'이 365일 기준으로 계산한 가장 정확한 표준 시간입니다. (고용노동부 및 대법원 판례 기준) '207시간'은 과거에 한 달을 4.3주(52주/12)로 단순 계산하던 '관행'에서 나온 숫자로, 209시간으로 계산하는 것이 법적으로 더 정확합니다. 하지만 일부 회사에서는 여전히 207시간을 기준으로 쓰기도 합니다. (최저임금 이상만 지급된다면 법적 문제는 없습니다.)

 

3. 내 알바 시간은? (단시간 근로자 계산법) 

그럼 주 40시간이 아닌 아르바이트생은 어떻게 계산할까요?

Case 1: 주 30시간 (월~금, 하루 6시간) 근로자

  • 월 실근로: 30시간 X 4.345주 ≈ 130.4시간
  • 월 주휴시간: (30시간 / 40시간) X 8시간 X 4.345주 ≈ 26.1시간
  • 월 총 유급 근로시간: 130.4 + 26.1 = 약 157시간

Case 2: 주 20시간 (월~금, 하루 4시간) 근로자

  • 월 실근로: 20시간 X 4.345주 ≈ 86.9시간
  • 월 주휴시간: (20시간 / 40시간) X 8시간 X 4.345주 ≈ 17.4시간
  • 월 총 유급 근로시간: 86.9 + 17.4 = 약 104시간

내 알바시간은?
⚠️ 주 15시간 미만 = '주휴수당' 없음!
가장 중요한 규칙! 근로기준법상 '주 15시간 미만'으로 일하기로 약속한 '초단시간 근로자'는 주휴수당, 퇴직금, 연차휴가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예: 주 14시간 근로자의 월 소정근로시간은 (14시간 X 4.345주) ≈ 61시간이 됩니다.)

 

4. 마무리: 핵심 내용 요약 

오늘은 '소정근로시간'의 정확한 뜻과 '월 207시간(209시간)'의 비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막연히 "회사가 알아서 주겠지"가 아니라, 내 월급이 어떤 기준으로 계산되는지 정확히 아는 것이 내 권리를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이제 내 근로계약서에 적힌 '소정근로시간'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왜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209시간으로 계산되는지 자신 있게 설명하실 수 있겠죠? 

 

소정근로시간 & 209시간 핵심 요약

 소정근로시간 뜻: 근로자와 회사가 '일하기로 약속한' 시간. (법정근로시간 주 40시간 이내)
 "월 160시간"이 아닌 이유:
월급 계산 시 '유급 주휴시간(주휴수당)'이 포함되기 때문.
 209시간 계산 (주 40시간 기준):
월 실근로(약 174시간) + 월 주휴시간(약 35시간)
 207시간 vs 209시간: 209시간이 365일 기준 고용노동부 표준이지만, 207시간(관행)도 혼용됨.

자주 묻는 질문 

Q: '소정근로시간'과 '법정근로시간'은 뭐가 다른가요?
A: '법정근로시간'은 "1일 8시간, 1주 40시간을 초과하지 마라"는 법의 '최대 한도'입니다. '소정근로시간'은 그 한도 내에서 "우리는 하루 6시간만 일하자"처럼 회사와 근로자가 '실제로 약속한' 시간입니다.
Q: 왜 209시간이 아니라 207시간으로 계산하는 회사도 있나요?
A: '209시간'은 1년(365일)을 12달로 나눈 평균(약 4.345주)으로 계산한 가장 정확한 값입니다. '207시간'은 1년 52주를 12달로 나눈 '약 4.3주'라는 단순한 값으로 계산하던 과거의 '관행'이 남은 것입니다. 둘 다 최저임금 기준만 넘으면 법적으로 큰 문제는 없지만, 고용노동부는 '209시간'을 표준으로 사용합니다.
Q: 주 15시간 미만으로 일하면 주휴수당을 정말 못 받나요?
A: 네, 맞습니다. 근로기준법상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초단시간 근로자'에게는 주휴수당, 연차휴가, 퇴직금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글

2025.11.06 - [분류 전체보기] - 레버리지뜻, "빚도 자산이다?" (양날의 검, 완벽 설명)

 

레버리지뜻, "빚도 자산이다?" (양날의 검, 완벽 설명)

레버리지(Leverage) 뜻, "빚도 자산이다?" "영끌 투자", "전세 갭투자" 모두 '레버리지'입니다! 적은 힘으로 큰 수익을 노리는 레버리지의 정확한 뜻과 양날의 검과 같은 장단점, 실제 사례까지 완벽

netscapeinfo.com

2025.11.06 - [분류 전체보기] - 빅맥지수과 한계점 (PPP 구매력 평가 이론)

 

빅맥지수과 한계점 (PPP 구매력 평가 이론)

빅맥지수(Big Mac Index) 완벽 설명! "빅맥" 가격 하나로 전 세계 물가와 환율을 비교한다? 경제 뉴스 단골손님 '빅맥지수'의 정확한 뜻과 유래, 그리고 이 지수의 한계점까지 완벽하게 설명해 드립니

netscapeinfo.com

2025.11.07 - [분류 전체보기] - 기저효과 뜻, "물가 상승률 둔화"의 진짜 의미 (완벽 설명)

 

기저효과 뜻, "물가 상승률 둔화"의 진짜 의미 (완벽 설명)

"작년엔 100% 성장, 올해는 10%?" 이게 진짜 실력일까? 경제 뉴스 단골손님 '기저효과(Base Effect)'. 이 숫자의 함정에 빠지지 않도록, 기저효과의 정확한 뜻과 우리 삶 속 실제 사례(물가, 주식)를 완벽

netscapeinfo.com

2025.11.05 - [분류 전체보기] - 애자일(Agile) 뜻, '일 잘하는' 조직은 다 아는 이 방법! (완벽 설명)

 

애자일(Agile) 뜻, '일 잘하는' 조직은 다 아는 이 방법! (완벽 설명)

애자일(Agile) 뜻, 완벽 설명! "일 잘하는 조직의 비밀" 구글, 아마존, 쿠팡은 어떻게 그렇게 빠를까요? '애자일'하게 일한다는 것의 정확한 뜻과 핵심 가치, 그리고 '애자일 선언문'의 유래까지 완

netscapeinfo.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