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엑셀 MAX함수 완벽정리

by 현실감각ON 2025. 10. 20.
반응형

 

엑셀 데이터에서 가장 큰 숫자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야 할 때! **MAX 함수**는 방대한 데이터 속에서 **최댓값**을 추출하는 가장 강력하고 기본적인 도구입니다. 이 함수 하나로 모든 데이터 분석의 효율을 높여보세요!

 

엑셀 작업을 하다 보면, 가장 높은 판매 실적, 가장 긴 작업 시간, 가장 큰 재고 수량 등 데이터 집합에서 가장 큰 값을 찾는 일이 필수적입니다. 데이터의 규모가 커질수록 이 작업을 수동으로 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죠. 😥

이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MAX 함수입니다. 이름처럼 Maximum(최대)의 약자이며, 지정된 셀 범위 또는 인수 목록에서 가장 큰 숫자를 손쉽게 찾아줍니다. MIN 함수와 마찬가지로 사용법이 매우 간단하면서도 데이터 분석의 핵심이 되는 MAX 함수를 오늘 완벽하게 마스터해 봅시다! 

MAX 함수 기본 문법과 작동 원리 🤔

MAX 함수의 문법은 최솟값을 찾는 MIN 함수와 완벽하게 동일합니다. 단지 최댓값을 반환한다는 점만 다를 뿐이죠.

📝 MAX 함수 문법

=MAX(number1, [number2], ...)

`number1`, `number2` 인수는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최대 255개까지 지정할 수 있습니다.

  • 개별 숫자 (예: 50, 100, 25)
  • 셀 주소 (예: F12, G5)
  • 셀 범위 (예: B2:B20, D1:E10) - 가장 일반적인 사용법
💡 작동 원리 핵심!
MAX 함수는 오직 숫자 데이터만을 고려합니다. 텍스트, 논리값(TRUE/FALSE), 또는 빈 셀이 포함되어 있더라도 이들은 모두 무시하고, 숫자 데이터 중에서 가장 큰 값을 골라냅니다.

실전 예시: MAX 함수 사용법 📊

아래 표는 한 주간의 일별 판매 실적 데이터입니다. 이 데이터를 가지고 MAX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실적 범위: B2부터 B5)

판매 실적 데이터 예시

날짜 실적 (B열)
월요일 150
화요일 90
수요일 210
목요일 105


1. 단일 범위에서 최댓값 찾기 (가장 높은 실적)

B2부터 B5까지의 실적 중 **가장 높은 실적**을 찾으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수식: =MAX(B2:B5)

결과: 210

2. 여러 범위와 개별 숫자 조합

B2:B5 범위에 더해, 다른 범위(예: C1:D2)와 특정 숫자 '300'을 포함하여 가장 큰 값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수식: =MAX(B2:B5, 300, C1:D2) (C1:D2 범위 내의 값은 무시하고, 300이 가장 크다고 가정)

결과: 300 (210, 300, C1:D2 중 가장 큰 값)

주의하세요! MAX 함수 사용 시의 함정 ⚠️

MAX 함수를 사용할 때 MIN 함수와 동일하게, 데이터 유형에 대한 엑셀의 처리 방식을 이해해야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1. 텍스트, 빈 셀, 오류는 무시됩니다!
범위 내에 "결측치" 같은 텍스트나 완전히 비어 있는 셀이 있다면 계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또한, `#DIV/0!`이나 `#VALUE!` 같은 오류 값이 있다면 MAX 함수는 오류를 반환합니다. 데이터 클리닝이 중요합니다.
⚠️ 2. 날짜는 가장 '최근' 날짜가 최댓값이 됩니다!
엑셀에서 날짜는 숫자로 인식되기 때문에, MAX 함수가 날짜 범위에 적용되면 가장 큰 숫자인 가장 최근의 날짜를 반환합니다. 이는 가장 늦은 날짜를 찾을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심화 활용: 조건부 최댓값을 찾고 싶다면? 💡

"특정 부서의 최댓값"이나 "기간별 최댓값"처럼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최댓값을 찾아야 할 때는 MAXIFS 함수를 사용합니다. (엑셀 2019 이후 버전에서 지원)

MAXIFS 함수 문법

=MAXIFS(최대 범위, 조건 범위1, 조건1, [조건 범위2, 조건2], ...)

예를 들어, B2:B10 범위의 실적 중 A2:A10 범위의 지점이 "부산"인 최댓값을 찾으려면:

수식: =MAXIFS(B2:B10, A2:A10, "부산")

💡 참고:
MAXIFS 함수가 없는 구 버전 엑셀 사용자라면 `{=MAX(IF(조건범위=조건, 최대범위))}` 형태의 배열 수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 수식은 입력 후 Ctrl + Shift + Enter로 마무리해야 합니다.

마무리: 핵심 내용 요약 📝

MAX 함수는 MIN 함수와 함께 엑셀 데이터 분석의 양대 산맥입니다. 대규모 데이터 속에서 중요한 최댓값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MAXIFS를 통해 조건에 맞는 최댓값까지 추출할 수 있다면 데이터 해석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오늘 배운 MAX 함수를 활용하여 데이터의 최고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내어 업무 효율을 극대화하시길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질문해 주세요. 😊

 
🎁 MAX 함수 핵심 요약 체크리스트 📝

엑셀 MAX 함수 사용 시 꼭 기억해야 할 3가지!

  • 문법: `=MAX(범위)` 또는 `=MAX(숫자1, 숫자2, ...)`로 최댓값을 찾습니다.
  • 특징: 텍스트, 빈 셀은 무시하고 오직 숫자만 계산합니다.
  • 고급: 조건부 최댓값은 `MAXIFS` 함수 (엑셀 2019 이상)를 사용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MAX 함수와 LARGE 함수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 MAX 함수는 무조건 첫 번째로 큰 값(최댓값)을 찾는 반면, LARGE 함수는 k번째로 큰 값을 찾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LARGE(범위, 2)`는 두 번째로 큰 값을 반환합니다.

Q2. MAX 함수 결과가 셀에 있는 값보다 낮게 나올 수도 있나요?

👉 MAX 함수는 숫자로 인식되는 값 중에서만 최댓값을 찾습니다. 만약 셀에 있는 가장 큰 값이 숫자가 아닌 텍스트로 저장된 숫자라면, MAX 함수는 이를 무시하고 다음으로 큰 숫자를 반환합니다. (텍스트로 저장된 숫자가 문제의 원인일 수 있습니다.)

Q3. MAXIFS 함수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MAX 함수는 전체 범위의 최댓값만 찾지만, MAXIFS 함수는 하나 이상의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데이터 중에서만 최댓값을 찾을 수 있어 더욱 정교한 데이터 분석이 가능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