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혼인신고서, 어떻게 써야 할까? ✍️
기본 항목 작성법!
- 신고인(본인 & 배우자) 정보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본적, 전화번호 기입!
- 주소는 **현재 거주지 주소** 기준
- 본적은 주민등록등본에도 나와있음 (시/도, 시/군/구까지 정확히!)
- 전화번호는 연락 가능한 휴대폰 번호로~
- 부(父)·모(母) 정보
양쪽 부모님의 성명 & 주민등록번호 적습니다.
부모님 돌아가셨더라도 적는 게 원칙!
- 혼인의 사실과 혼인 일자
혼인 사실 인정 여부 ✔ 체크
혼인 일자는 보통 **결혼식 날** or **신고하는 날짜**로 기재!
날짜 틀리면 수정 가능하니 걱정마세요~
- 성·본의 변경 여부
대부분 ‘변경 없음’에 체크!
**성씨 변경 원하면** 법원 절차 따로 진행 필요.
- 국적(외국인 배우자 있을 경우)
외국인 배우자가 있는 경우, **국적, 외국인등록번호** 등 기입 필수!
외국인 배우자는 혼인요건 증명서류도 필요합니다.
- 증인 2명 정보
증인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도장 or 서명 입력!
친구, 가족, 회사 동료 상관없이 **성인 2명**이면 OK!
작성할 때 꼭 알아둘 점!
- 흐릿하게 적으면 X → **볼펜으로 깔끔하게!**
- 도장은 **본인, 배우자, 증인 모두** 필요 (서명으로 대체되는 곳도 있음)
- 수정할 땐 **두 줄 긋고 정정인 찍기!**
- 혼인신고서 서식은 주민센터 비치 or 온라인 출력 가능
양식도 준비했슴다!
혼인신고서 작성요령 ✍️
기본 항목 작성 방법
- 신고인(본인 & 배우자) 정보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본적, 전화번호 기입
주소는 현재 거주지, 본적은 주민등록등본 참고
- 부모님 정보 (부·모)
부모님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입력
돌아가셨더라도 기재해야 함
- 혼인의 사실 & 혼인 일자
혼인 사실 인정 여부 체크
혼인 일자는 결혼식 날짜 or 신고 날짜로 작성
- 성·본 변경 여부
대부분 ‘변경 없음’ 체크
성씨 변경 시 법원 절차 필요
- 국적(외국인 배우자 있을 경우)
외국인일 경우 국적, 외국인등록번호 작성
- 증인 2명 정보
증인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도장 or 서명
성인 2명이면 누구든 가능
작성할 때 주의사항
- 흐릿하게 적지 말고 볼펜으로!
- 도장 or 서명 반드시 필요 (증인 포함)
- 수정 시 두 줄 긋고 정정인 찍기
- 혼인신고서 양식은 주민센터 비치 or 온라인 출력 가능
📌 혼인신고서, 자주 물어보는 질문
🔹 혼인신고서에 증인 없이 제출 가능한가요?
불가능합니다!
증인 2명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도장(또는 서명) 반드시 필요합니다.
빠트리면 접수 자체가 불가하니 꼭 챙기세요.
🔹 수정할 때 실수했으면 어떻게 하나요?
혼인신고서 수정은 간단해요.
잘못 작성한 부분에 두 줄 긋고, 옆에 정정인(본인 도장) 찍으면 됩니다.
주민센터에서도 확인 후 알려줍니다!
🔹 외국인 배우자의 경우 특별히 다른 점이 있나요?
네!
외국인 배우자일 경우 국적, 외국인등록번호 반드시 기재해야 하고,
추가로 ‘혼인요건 사실증명서’ 같은 서류를 요구받을 수 있습니다.
💡 혼인신고서, 어렵지 않쥬?
딱 보면 복잡해 보이지만, 항목별로 하나씩 적으면 사실 금방 끝나요!
특히 증인 정보와 도장, 수정 시 정정 방법만 잘 챙기면 헷갈릴 일 없음!
신고서 양식도 미리 받아서 작성해가면 현장에서는 5분 컷입니다. 😊
🤔 여러분은 혼인신고서 작성해보셨나요?
처음 작성할 때 어려웠던 부분 있으셨나요?
또는 ‘아! 이거 놓칠 뻔했다!’ 하는 팁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다른 분들한테도 엄청 도움이 될 거예요!
✨ 관련 태그
혼인신고서, 혼인신고서 작성법, 혼인신고 증인, 혼인신고 절차, 혼인신고 준비물, 혼인신고서 양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