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하나회 군사정권의 종말

by 현실감각ON 2025. 10. 21.
반응형

 

하나회 역사 총정리: 전두환, 노태우 등 육사 출신 장교들이 주도한 비밀 사조직 '하나회'의 결성 배경, 권력 장악의 서막이었던 12.12 군사반란, 그리고 김영삼 문민정부에 의한 전격적인 척결 과정까지, 대한민국 현대사의 흐름을 바꾼 하나회의 모든 것을 정리합니다.

'하나회'는 대한민국 현대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핵심 키워드입니다. 육군 내 비밀 사조직으로 시작하여, 쿠데타를 통해 정권을 장악하고 군부 독재의 핵심 축을 담당했던 이 조직은 대한민국 정치와 군의 역사를 송두리째 뒤흔들었습니다. 그 실체와 역사적 맥락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1. 하나회(하나會)의 정의와 기원

군내 불법 사조직으로서의 하나회

하나회는 육군사관학교 출신 장교들이 만든 비공식 사조직입니다. 공식적인 명령 계통과 별개로 운영되며, 회원들 간의 끈끈한 학연과 지연(주로 영남 출신)을 바탕으로 군부 내 요직을 독점하며 거대한 권력 집단으로 성장했습니다.

결성과 주요 인물

  • 시작: 1958년, 육사 11기생인 전두환, 노태우, 정호용 등을 중심으로 결성된 '칠성회(七星會)'가 모체입니다.
  • 핵심 인물: 전두환, 노태우를 비롯해 장세동, 허삼수, 허화평, 박희도, 최세창, 김진영, 이학봉 등 육사 11기부터 17기까지의 영남 출신 엘리트 장교들이 주축을 이루었습니다.
  • 오성회: 하나회의 초기 조직이었으며, 전두환, 노태우, 김복동 등 육사 11기 핵심 3인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습니다.

 

2. 권력 장악의 서막: 12.12 군사반란

하나회가 군부의 권력을 완전히 장악하는 결정적인 사건은 1979년 12월 12일에 발생한 12.12 군사반란(혹은 12.12 사태)입니다.

사건의 개요 및 성격

  • 배경: 10.26 사건(박정희 대통령 시해 사건) 이후 군부 실세였던 전두환 보안사령관이 주도하여 발생했습니다.
  • 내용: 전두환, 노태우 등 하나회 멤버들이 육군참모총장이자 계엄사령관인 정승화 등을 불법적으로 체포하고 군 수뇌부를 숙청하여 군권을 완전히 장악했습니다.
  • 결과: 이 사건은 법적으로 '군사반란'으로 규정되며, 이후 5.17 내란 및 5.18 민주화운동 무력 진압을 거쳐 신군부 세력(하나회 중심)이 정권을 찬탈하고 전두환 정부를 수립하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3. 하나회의 권력 독점과 몰락

군부 요직 장악

하나회는 5공화국과 6공화국(노태우) 시절 동안 군 수뇌부는 물론 청와대 경호실장, 안기부장 등 국가의 주요 권력 요직을 독점하며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습니다. 육군참모총장과 보안사령관 등 핵심 직위 대부분을 하나회 소속 인물들이 차지했습니다.


김영삼 문민정부의 전격적인 척결

하나회는 1993년 김영삼 문민정부가 출범하면서 단숨에 무력화됩니다. 김영삼 대통령은 취임 직후 권영해 국방부 장관과 함께 극비리에 하나회 척결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 척결 내용: 문민정부는 전광석화와 같이 하나회 소속 핵심 장성들을 군 요직에서 해임하고 전역시키는 대대적인 숙청 작업을 단행했습니다.
  • 의의: 이 척결은 군의 정치 개입을 차단하고 군내 사조직 문화를 종식시킨 역사적인 조치로 평가받으며, 문민정부의 군 통수권을 확립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 핵심 요약
하나회는 대한민국 육군 내 불법 사조직으로, 12.12 군사반란을 통해 권력을 장악하고 장기간 군부 독재의 핵심이 되었으나, 1993년 김영삼 문민정부에 의해 완전히 척결되면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