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직장인 필수 엑셀: 전년 대비 증감율 & 연평균 성장률 3초 컷 수식

by 현실감각ON 2025. 11. 24.
반응형

 

엑셀 성장률 계산, 아직도 계산기 두드리시나요? 실무에서 가장 많이 쓰는 전월 대비 증가율부터 연평균 성장률(CAGR) 공식까지! 복사해서 바로 쓰는 엑셀 수식 완전 정복 가이드입니다.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겪는 상황이 있죠. "김 대리, 작년 대비 우리 매출 성장률이 얼마나 되지?"라는 상사의 질문!  순간 머릿속이 하얗게 변하고 계산기를 찾고 계시진 않나요?

엑셀만 있다면 3초 만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실무에서 가장 빈번하게 쓰이는 단순 증가율(%) 계산법부터, 장기적인 추세를 보여주는 연평균 성장률(CAGR)까지 아주 쉽게 알려드릴게요. 이 글 하나만 즐겨찾기 해두시면 더 이상 수식 때문에 골머리 앓을 일 없을 거예요!

엑셀 증가율 계산법

 

1. 전년(전월) 대비 증가율 공식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많이 쓰이는 공식입니다. 작년 매출과 올해 매출을 비교하거나, 지난달과 이번 달을 비교할 때 사용합니다.

기본 공식 (전년 대비)

=(올해 값 - 작년 값) / 작년 값

또는 =(올해 값 / 작년 값) - 1

엑셀에서는 수식을 입력한 후, 반드시 [홈] 탭 → [표시 형식] → [%] 아이콘을 눌러 백분율로 바꿔주셔야 보기 편합니다.

 엑셀 꿀팁!
만약 작년 값이 '0'이라면 엑셀에서 #DIV/0! 오류가 뜹니다. 이럴 땐 IFERROR 함수를 써서 깔끔하게 처리하세요.
예: =IFERROR((B2-A2)/A2, "-")
증가율 계산 하기

2. 연평균 성장률 (CAGR) 공식 

실무에서 "지난 5년 동안 우리가 매년 평균 얼마나 성장했지?"라고 물을 때, 단순히 매년 성장률을 더해서 나누면(산술평균) 왜곡이 생깁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CAGR(Compound Annual Growth Rate)입니다.

 CAGR 엑셀 공식

=(최종 연도 값 / 첫 연도 값)^(1 / 기간) - 1

* 기간 = (최종 연도 - 첫 연도)

실무 적용 예시 테이블

연도 매출액 (단위: 억) 비고
2020년 (시작) 100 시작 값
2021년 120 성장
2022년 110 하락
2023년 (끝) 150 최종 값

위 표에서 2020년부터 2023년까지 3년 동안의 연평균 성장률을 구하려면?
=(150 / 100)^(1/3) - 1 을 입력하면 됩니다. 결과는 약 14.5%가 나옵니다.

⚠️ 주의하세요!
기간(n)을 계산할 때 햇수를 헷갈리기 쉽습니다. 2020년~2023년이면 데이터는 4개지만, 기간(간격)은 3년입니다. (2023 - 2020 = 3)
전년대비 증가율 및 연평균 성장률 계산법

3. 엑셀 고수의 비밀: RRI 함수 

"수식이 너무 복잡해서 외우기 힘들어요!" 하시는 분들을 위해 엑셀에는 연평균 성장률 전용 함수가 숨어 있습니다. 바로 RRI 함수입니다.

RRI 함수 공식

=RRI(기간, 시작값, 종료값)

아까와 똑같은 예시를 RRI 함수로 풀어볼까요?
=RRI(3, 100, 150)
이렇게만 입력하면 엑셀이 알아서 14.5%를 계산해 줍니다. 정말 간편하죠?

연평균 계산하기

🔢 간편 성장률 계산기

엑셀을 켜기 귀찮을 때, 여기서 바로 계산해보세요!

이전 값 (Start):
이후 값 (End):
3줄 요약하기

3줄 요약: 엑셀 성장률 완전 정복

 기본 공식: (올해 - 작년) / 작년
 장기 분석: 연평균 성장률(CAGR) 사용
=(끝값/시작값)^(1/기간) - 1
 치트키: 복잡한 수식 대신 =RRI(기간, 시작, 끝) 함수 쓰기!

자주 묻는 질문 

Q: 작년 매출이 0원이었는데 에러가 나요.
A: 분모가 0이면 계산할 수 없어 #DIV/0! 오류가 뜹니다. 이때는 IFERROR 함수를 써서 "신규" 등으로 표시하거나, 데이터의 의미를 다시 확인해야 합니다.
Q: 마이너스 성장은 어떻게 표시되나요?
A: 수식 결과가 자동으로 음수(예: -15%)로 나옵니다. 조건부 서식을 활용해 빨간색으로 표시하면 더 눈에 띕니다.
Q: 월별 성장률(MoM)도 같은 공식인가요?
A: 네, 맞습니다! 기준만 '년'에서 '월'로 바꾸면 공식은 똑같이 적용됩니다.

지금까지 실무에서 꼭 필요한 엑셀 성장률 계산법을 알아봤습니다. 이제 상사가 갑자기 데이터를 물어봐도 당황하지 않고 "아, 전년 대비 00% 성장했고, 연평균 성장률은 00%입니다!"라고 멋지게 대답하실 수 있겠죠?

혹시 엑셀을 쓰다가 또 막히는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물어봐 주세요. 칼퇴를 부르는 엑셀 꿀팁은 계속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꾹~ 부탁드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