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원가 단가 뜻, 아직도 헷갈리시나요? (계산 방법과 이익률 총정리)

by 현실감각ON 2025. 11. 1.
반응형

 

'단가'와 '원가', 그 차이가 궁금하신가요? 장사나 사업을 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원가'와 '단가'의 정확한 뜻과, '얼마가 남는지' 알 수 있는 간단한 계산 방법까지 완벽하게 설명해 드립니다.

 

"사장님, 이 빵 단가가 얼마예요?"라고 묻는 손님과, "이 빵 원가가 얼마예요?"라고 묻는 사장님. 두 사람이 말하는 '가격'은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갖습니다.

단가와 원가의 뜻

비즈니스를 하거나, 혹은 현명한 소비자가 되기 위해 '단가'와 '원가'의 개념을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두 가지를 구분하지 못하면, 내가 얼마를 버는지, 혹은 얼마를 쓰는지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이죠. 오늘은 이 두 용어의 뜻과 간단한 계산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원가(原價)란? (제품에 들어간 '총비용') 

원가(原價)는 '으뜸 원(原)', '가격 가(價)'를 씁니다. 즉, '근원이 되는 가격'이라는 뜻으로, 물건 하나를 만들거나 사 오는 데 들어간 모든 비용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순수하게 들어간 돈'이죠.

원가는 크게 3가지로 구성됩니다.

  • 재료비: 제품을 만드는 데 직접 들어간 재료값 (예: 빵의 밀가루, 커피의 원두)
  • 노무비: 제품을 만드는 데 들어간 인건비 (직원 급여 등)
  • 경비 (간접비): 제품을 만드는 데 간접적으로 들어간 비용 (월세, 전기세, 수도세, 포장비 등)
 '원가'를 알아야 '이익'이 보입니다
원가 계산이 중요한 이유는 내가 얼마를 남기고 파는지(이익)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판매가 - 원가 = 이익) 공식을 모르면, 열심히 팔아도 남는 게 없는 장사를 할 수도 있습니다.
원가의 뜻

 

2. 단가(單價)란? (물건 '한 개'의 가격) 

단가(單價)는 '홑 단(單)', '가격 가(價)'를 씁니다. 말 그대로 '물건 한 개(단위)당 가격'을 의미합니다.

'단가'는 상황에 따라 두 가지 의미로 쓰입니다.

  • 판매 단가 (우리가 흔히 쓰는 말): 손님에게 파는 '개당 판매 가격'. (예: "이 빵 단가 3,000원입니다.")
  • 매입/제조 단가: 물건을 사 오거나(매입) 만드는 데(제조) 든 '개당 원가'. (예: "이 빵 제조 단가는 1,000원입니다.")

즉, '제조 단가' 또는 '매입 단가'는 '개당 원가'와 거의 같은 의미로 쓰입니다. 하지만 보통 '단가'라고만 하면 '판매 단가'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가의 뜻

 

 

3. 원가와 이익 계산 방법 (카페 예시) 

그럼 사장님들은 어떻게 원가를 계산하고 이익을 확인할까요? 카페에서 아메리카노 1잔을 파는 상황을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1단계: 아메리카노 1잔 '원가' 계산하기

1) 직접비 (재료비): 원두(300원) + 컵/홀더/빨대(150원) = 450원

2) 간접비 (노무비+경비): 매장 월세, 전기세, 인건비 등을 한 달 총 판매 잔 수로 나눈 값 (가정: 1잔당 1,000원)

최종 1잔 원가 = 450원(직접비) + 1,000원(간접비) = 1,450원

단가와 원가

 2단계: '이익(마진)' 계산하기

판매 단가: (손님에게 파는 가격) = 4,500원

이익 (마진): 판매 단가 (4,500원) - 원가 (1,450원) = 3,050원

이익률 (마진율): (이익 / 판매 단가) * 100 = (3,050원 / 4,500원) * 100 = 약 67.8%

 원가 계산을 무시하면...
만약 사장님이 간접비(월세, 인건비)를 빼고 재료비(450원)만 원가라고 착각한다면, 4,050원(4500-450)이 남는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3,050원이 남는 것이죠. 원가 계산을 정확히 하지 않으면 이렇게 '남는 것 없는 장사'를 하게 될 수 있습니다.

 

 

원가 vs 단가 핵심 요약

 원가(原價): 만드는 데 들어간 '총비용'
(재료비 + 노무비 + 경비)
 단가(單價): 물건 '1개당 가격'
(보통 '판매 단가'를 의미함)
 핵심 계산:
판매 단가 - 원가 = 이익 (마진)

자주 묻는 질문 ❓

Q: 인건비(노무비)도 원가에 꼭 포함해야 하나요?
A: 네,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 만약 1인 사장이라 직원이 없더라도, 사장님 본인의 인건비를 책정하여 원가에 넣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내 노동력'이 공짜로 들어간, 즉 이익이 부풀려진 계산이 됩니다.
Q: '단가 후려치기'는 무슨 뜻인가요?
A: 여기서 말하는 '단가'는 '판매 단가'가 아니라 '납품 단가' 또는 '매입 단가'입니다. 예를 들어, 대기업(구매자)이 힘을 이용해 하청업체(판매자)에게 "너희 물건 납품 단가를 개당 1,000원에서 800원으로 낮춰!"라고 압박하는 것을 '단가를 후려친다'고 말합니다.
Q: 원가를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원가의 3요소를 살펴보면 됩니다. 첫째, 재료를 대량 구매하여 '재료비'를 낮춥니다. 둘째, 작업 공정을 효율화하여 '노무비(인건비)'를 줄입니다. 셋째, 불필요한 전기 사용을 줄이거나 임대료가 싼 곳으로 이전하여 '경비(간접비)'를 아끼는 방법이 있습니다.

'단가'와 '원가'는 비즈니스의 시작과 끝입니다. 내가 파는 물건의 '판매 단가'와 그 물건의 '원가'를 명확히 아는 것, 그것이 바로 성공적인 사업의 첫걸음입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