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엑셀 MID 함수 완벽정리

by 현실감각ON 2025. 10. 20.
반응형

 

수많은 텍스트 데이터 속에서 원하는 정보만 추출하고 싶으세요? MID 함수는 텍스트 문자열의 중앙에서 특정 위치부터 원하는 길이만큼의 문자를 정확하게 잘라낼 수 있게 해주는 핵심 텍스트 함수입니다. 복잡한 데이터 정리 작업을 MID 함수로 쉽고 빠르게 해결하세요!

 

엑셀 데이터에는 제품 코드,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문서명 등 정해진 형식 안에 필요한 정보가 숨겨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ABC-202505-001` 이라는 코드에서 날짜 정보인 `202505`만 따로 뽑아내야 할 때가 있죠. 🧐

이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MID(Middle) 함수입니다. 문자열의 왼쪽에서 시작 문자를 세어 원하는 위치부터 원하는 개수만큼 문자를 추출하는 이 함수는, 데이터 클리닝과 가공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오늘은 MID 함수의 정확한 문법과 실전 활용법, 그리고 주의사항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MID 함수 기본 문법과 인수 설명 📝

MID 함수는 총 세 가지의 필수 인수를 가집니다. 추출할 텍스트, 시작할 위치, 추출할 개수만 지정해 주면 됩니다.

📝 MID 함수 문법

=MID(text, start_num, num_chars)

각 인수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text` (필수): 문자열을 추출할 원본 텍스트나 텍스트가 들어있는 셀 주소입니다.
  • `start_num` (필수): 추출을 시작할 위치를 숫자로 지정합니다. 문자열의 첫 번째 문자는 1입니다.
  • `num_chars` (필수): `start_num`에서부터 추출할 문자의 개수를 숫자로 지정합니다.
💡 핵심 원리!
LEFT 함수는 무조건 왼쪽(1번째)부터, RIGHT 함수는 무조건 오른쪽(끝)부터 시작하지만, MID 함수는 `start_num`을 지정하여 추출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실전 예시: MID 함수 사용법 📊

원본 텍스트가 A1 셀에 "제품코드_202405_서울지점"이라고 입력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1. 날짜 코드 (202405) 추출

날짜 코드는 텍스트의 7번째 문자(`2`)부터 시작하며, 총 6글자입니다.

수식: =MID(A1, 7, 6)

결과: 202405


2. 지점 정보 (서울지점) 추출

지점 정보는 텍스트의 14번째 문자(`서`)부터 시작하며, 총 4글자입니다.

수식: =MID(A1, 14, 4)

결과: 서울지점

주의하세요! MID 함수 사용 시의 함정 ⚠️


MID 함수는 강력하지만, 인수를 잘못 지정하면 오류가 나거나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 1. `start_num`이 문자열 길이보다 클 때
만약 추출 시작 위치(`start_num`)가 원본 텍스트의 총 문자 길이보다 크다면, 결과는 빈 문자열 (`""`)이 됩니다. (오류가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 2. `num_chars`가 너무 클 때
추출할 문자 개수(`num_chars`)를 남은 문자열 길이보다 훨씬 크게 지정해도 괜찮습니다. MID 함수는 텍스트의 끝까지 추출하고 멈춥니다. 예를 들어, 남은 문자가 3개인데 100개를 추출하라고 하면 3개만 추출하고 종료합니다.
⚠️ 3. 결과는 항상 '텍스트'입니다!
MID 함수는 숫자처럼 보이는 문자열(예: "202405")을 추출하더라도 그 결과는 텍스트입니다. 추출한 결과를 가지고 사칙연산이나 통계 함수를 사용하려면, VALUE 함수를 사용해서 숫자로 변환해 주어야 합니다.

예시: =VALUE(MID(A1, 7, 6))

 

 

심화 활용: FIND/SEARCH 함수와 결합 💡

MID 함수는 `start_num`을 직접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문자열 길이가 매번 바뀌는 데이터에는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이럴 때는 FIND 또는 SEARCH 함수를 사용하여 `start_num`을 동적으로 찾아낼 수 있습니다.

특정 구분자 사이의 텍스트 추출 (가장 많이 사용)

원본 텍스트가 A1 셀에 "이름:홍길동|지역:서울|코드:K102"라고 있고, "지역" 정보만 추출하고 싶다고 가정합니다.

목표: `지역:` 다음부터 `|`가 나오기 전까지의 텍스트를 추출

수식 조합 (복잡함):

=MID(
    A1,
    FIND("지역:", A1) + 3,
    FIND("|", A1, FIND("지역:", A1)) - (FIND("지역:", A1) + 3)
)

해석:

  • `FIND("지역:", A1) + 3`: "지역:"이 시작하는 위치를 찾고, 3글자(`지역:`) 다음인 추출 시작 위치를 계산합니다.
  • `FIND("|", A1, ...)`: 다음 구분자(`|`)의 위치를 찾아, 그 위치에서 시작 위치를 빼서 추출할 문자 개수를 계산합니다.

결과: 서울

 

마무리: 핵심 내용 요약 📝

MID 함수는 엑셀에서 문자열 가공의 중심이 되는 함수입니다. 단순히 중간 문자를 추출하는 것을 넘어, FIND/SEARCH 함수와 결합하면 어떤 형식의 데이터에서든 원하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만능 도구가 됩니다.

이제 복잡한 텍스트 데이터에 당황하지 마시고, MID 함수를 활용하여 데이터 클리닝과 분석을 효율적으로 진행해 보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질문해 주세요. 😊

 
🎁 MID 함수 핵심 요약 체크리스트 📝

엑셀 MID 함수 사용 시 꼭 기억해야 할 3가지!

  • 문법: `=MID(텍스트, 시작_위치, 개수)`로 원하는 부분만 추출합니다.
  • 시작: 문자열의 첫 글자가 1이며, 띄어쓰기(공백)도 한 글자로 셉니다.
  • 활용: 고정된 위치 추출은 MID 단독으로, 유동적인 위치 추출은 FIND/SEARCH 함수와 결합하여 사용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MID 함수와 LEFT/RIGHT 함수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LEFT는 무조건 왼쪽(1번째)부터, RIGHT는 무조건 오른쪽(마지막)부터 추출하지만, MID는 추출 시작 위치(`start_num`)를 지정하여 중간의 특정 위치부터 추출할 수 있습니다.

Q2. 띄어쓰기(공백)도 문자로 세나요?

👉 네, 엑셀의 모든 텍스트 함수는 공백을 하나의 문자로 취급하여 계산합니다. 공백을 포함하여 `start_num`을 정확하게 세어야 합니다.

Q3. MID 함수로 추출한 숫자를 계산에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MID 함수 결과는 항상 텍스트 형식이므로, 이를 숫자 데이터로 변환해야 합니다. 추출된 MID 함수 전체를 VALUE 함수로 감싸주거나, 추출된 결과에 `1` 또는 `+0`을 더해 강제로 숫자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