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논문 양식 대학원 논문(+무료 양식 포함) 제출 필수! HWP/Word 표준 편집 규격 (여백, 폰트, 간격)

by 현실감각ON 2025. 10. 15.
반응형

🚨 논문 양식 다운로드 필독 가이드! 석사/박사 학위 논문은 소속 대학/대학원 규정이 가장 중요합니다. 논문 제출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공식 양식 다운로드 경로와 함께, 학술지 투고 시 통용되는 표준 편집 기준까지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힘든 연구 끝에 논문 작성 단계에 오신 모든 연구자분들을 응원합니다. 하지만 논문 내용은 물론, 양식 하나만 틀려도 심사나 제출 단계에서 반려될 수 있습니다. 특히, 학위 논문은 소속 대학의 내규(內規)를 100% 따라야 합니다.

지금부터 가장 정확한 논문 양식(템플릿)을 찾는 방법과 함께, 논문 본문에 적용할 수 있는 표준적인 편집 규정을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

 

✅ 1. 논문 양식 다운로드의 '공식' 출처

일반적인 학술지 투고 양식과 달리, 학위 논문(석사/박사)은 반드시 아래 두 경로를 통해 템플릿을 다운로드해야 합니다.

  1. ① 소속 대학교 도서관 논문 제출 안내 페이지:
    대부분의 대학 도서관은 온라인 학위 논문 제출(DCollection 또는 RISS 연동 시스템) 시 사용할 수 있도록 MS Word, 한글(HWP) 형태의 공식 템플릿 파일을 제공합니다. 이는 표지, 목차, 내지 구성까지 대학 규격에 맞춰진 파일입니다.
  2. ② 대학원 행정실 및 학과(부) 사무실:
    일부 학과는 자체적인 참고 문헌 스타일(APA, MLA, Chicago 등)이나 편집 규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논문 제출 전 반드시 학과 행정실에 문의하여 최신 규정을 확인하고 템플릿을 받아야 합니다.

 

📌 2. 학술 논문 통용 표준 편집 규정 (참고용)

소속 대학의 템플릿을 찾지 못했거나, 학술지에 투고할 경우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표준 편집 규격입니다. (단, 최종 제출 시에는 반드시 해당 기관의 규정을 따르십시오)

📄 용지 및 여백 설정 (A4 기준)

  • 용지 크기: A4 (210mm x 297mm)
  • 상/하 여백: 30mm ~ 35mm
  • 좌/우 여백: 25mm ~ 30mm
  • 머리말/꼬리말: 15mm 내외

✍️ 본문 서식 설정

  • 글자체 (국문): 신명조 또는 바탕체
  • 글자 크기 (본문): 10pt ~ 11pt
  • 줄 간격: 160% 또는 1.5줄 (MS Word 기준)
  • 문단 시작: 한 글자(두 칸) 들여쓰기

 

 

논문 양식 다운로드 하기

 

💡 논문 구성 순서 (일반적)

일반적인 논문이 포함해야 할 주요 요소들의 순서입니다. (대학별로 표지, 속표지, 인준서 등의 순서가 다를 수 있습니다.)

  • [1] 표지 / 속표지: 제목, 저자명, 소속, 제출 일자 등
  • [2] 심사위원 인준서 (학위 논문): 심사위원 서명 또는 날인 페이지
  • [3] 국문 초록: 연구 목표, 방법, 결과, 시사점 요약 (300단어 내외)
  • [4] 목차 / 표 및 그림 목차
  • [5] 본 문: 서론(연구 목적) → 이론적 배경/선행 연구 → 연구 설계/방법 → 연구 결과 → 결론(논의 및 제언)
  • [6] 참고 문헌: 논문 스타일(APA, MLA 등)에 따라 정확하게 작성
  • [7] 부록 (필요 시): 설문지, 보조 자료 등
  • [8] 영문 초록: 국문 초록과 동일한 내용의 영문 요약

 

⚠️

학술지 투고 시 주의사항

참고 문헌 형식: 학술지마다 APA, MLA, Chicago, KCI 등 요구하는 형식이 명확히 다릅니다. 투고 전 반드시 해당 학회 홈페이지의 논문 작성 규정을 확인하세요.
템플릿 제공: 많은 학술 단체들이 논문 작성 편의를 위해 MS Word 또는 HWP 템플릿을 제공합니다. 학회 홈페이지의 '논문 투고 안내' 또는 '저자 규정' 섹션을 확인해 보세요.

 

자주 묻는 질문 ❓

Q: 대학원 논문 제출 마감 직전에 양식을 수정해도 되나요?
A: 아닙니다. 인쇄소 제본 작업이나 학교 시스템 제출 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졸업 사정 통과 후 대학원/도서관에서 요구하는 최종 파일 양식 및 포맷을 미리 확인하여 작업해야 합니다.
Q: HWP와 MS Word 중 어떤 파일로 작성해야 하나요?
A: 대학원마다 주력으로 사용하는 템플릿 파일이 다릅니다. 학교에서 제공하는 양식을 따라야 하며, 보통 두 가지 모두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본인이 익숙한 프로그램으로 작성하되, 학교 측이 요구하는 형식으로 최종 변환하여 제출하면 됩니다.

 

 

논문 작성의 마지막 단계인 양식 맞추기는 매우 번거롭지만 중요한 과정입니다. 공식 템플릿을 확보하여 시간을 절약하고 연구 내용에 집중하시길 바랍니다. 성공적인 마무리를 응원합니다! 🎉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다시 문의해 주세요! 👍

반응형